목록2025/04/04 (2)
아주 사적인 Zootopia
0. 들어가며악평이 자자한 JBL 4312M 라인업은 4312의 미니어쳐 버전으로 일본에서 개발된 모델이라고 한다.아기자기한 것을 좋아하는 일본인 다운 발상이다.그러나 가성비의 상징과도 같은 4312 모델과는 달리 4312M 모델은 악평만이 존재할 뿐이었다.필자는 이것을 오히려 PC-FI에서 사용하기로 했다.1. 감상 후기JBL L52 Classic을 니어필드용으로 사용하면 저음이 어마어마하게 빠방하다.전면 포트로 내뿜는 저역의 파이어링이 느껴진다.그에 반해 4312MII 는 저음이 빠방하진 않고, 유닛이 3개로 나뉘어져있다보니 소리가 좀 더 섬세하다고나 할까 가볍다고나 할까...음역대를 좀 더 세밀하게 표현해준다는 느낌이 든다.다만 아쉬운 점은 역시나 우퍼라고 하기에 부실한 유니트 때문인데 전 대역이 ..
0. 들어가며PX7을 두고 음악 감상을 중점적으로 테스트 해봤다.음질적으로 최상의 결과를 낼 수 있는 조합은 Topping D70 Sabre + A70 Pro 헤드폰 앰프혹은 iBasso DX160를 이용한 유선 연결이라고 생각했는데...(USB-C to 3.5mm Cable 이용 시)문제는 이렇게 DAC가 내장된 액티브 방식은 3.5mm 아날로그 신호를 입력해도 ADC를 통해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다시 DAC를 거치는 구조로 되어 있다는 것이다.결론을 얘기하자면 어떤 좋은 헤드폰앰프를 연결해도 소용이 없다는 것이렸다...그러니 오히려 USB C to C 케이블로 직결하는 것이 음질이 가장 좋은 방법일 수 있다.그 다음은 USB-C to C 케이블을 이용해 PX7 S2e에 내장된 DAC를 이용하는 방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