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스피커 (16)
아주 사적인 Zootopia

0. 들어가며당분간 싱가폴에서 지내게 될 여자친구를 위해서집에서 심심치 않게 스피커를 준비했다.과거 필자는 Yamaha MCR-B142나 Sony SRS-HG1, Marshall Stanmore II, Klipsch The Three II 같은 포터블 기기를 사용한 경험이 있는데, 마샬 스탠모어 짝퉁과 아주 불쾌한 경험 때문에 지금과 같은 하이파이의 세상에 뛰어들게 된 것이다.1. JBL Authentics 300과거와는 다르게 현재 이런 류의 Wireless Active 스피커는 종류가 매우 다양해서 특별히 선택하기 어렵기도 하다.과거에는 필자가 포터블 용인 소니 히어고 스피커나 마샬 스탠모어 같은 스피커를 써보았지만, 마샬 같은 품질 나쁜 스피커에는 썩 만족하지 못 한 것도 사실이다.그러나 현재는 ..

0. 들어가며1~2년 정도 하이파이를 다뤘더니 아주 조금 감이 오는 듯 하다.지금의 서브시스템 1은 침실용으로 비교적 좁은 공간의 시스템이고, Polk ES20으로 시작해서 Polk L200까지 경험했다.필자는 JBL L52 Classic으로 입문해서 JBL 4312G에 정착했는데, 침실에는 직감적으로 L82가 가장 어울릴 것 같다고 느꼈다.후보군은 B&W 606 S3, Dali Menuet, JBL 4309, JBL L82 Classic, KEF LS50 Meta, Polk Legend L200 정도였다.그 중 B&W 사운드는 클래식에 특화된 장비인지 도저히 취향에 맞지 않았고, Dali는 단단한 사운드이긴 한데 과하게 단단하달까... 저음의 양도 부족한 편이고...추천하자면 L82나 4309 정도로 ..
0. 들어가며악평이 자자한 JBL 4312M 라인업은 4312의 미니어쳐 버전으로 일본에서 개발된 모델이라고 한다.아기자기한 것을 좋아하는 일본인 다운 발상이다.그러나 가성비의 상징과도 같은 4312 모델과는 달리 4312M 모델은 악평만이 존재할 뿐이었다.필자는 이것을 오히려 PC-FI에서 사용하기로 했다.1. 감상 후기JBL L52 Classic을 니어필드용으로 사용하면 저음이 어마어마하게 빠방하다.전면 포트로 내뿜는 저역의 파이어링이 느껴진다.그에 반해 4312MII 는 저음이 빠방하진 않고, 유닛이 3개로 나뉘어져있다보니 소리가 좀 더 섬세하다고나 할까 가볍다고나 할까...음역대를 좀 더 세밀하게 표현해준다는 느낌이 든다.다만 아쉬운 점은 역시나 우퍼라고 하기에 부실한 유니트 때문인데 전 대역이 ..

0. 들어가며 오엘바흐 Twin Mix Two 케이블을 구했다. 특징은 OFC Copper와 Silver 2가지 선이 믹스되어 있다는 것 기존에 사용하던 케이블은 국산 LS전선 골드플렉스 3 2.00mm2 이었다. 아마도 케이블의 단면적이 2.00제곱미리미터라는 의미 같고, 지금껏 몰랐던 특징은 케이블의 소재, 단면적의 넓이 등에 의해서 수용할 수 있는 앰프 출력의 한계에 차이가 있다는 것이다. 2. 오엘바흐 트윈 믹스 투 이 케이블은 오엘바흐 라는 브랜드의 Twin Mix Two 2x6.00mm2 라는 제품이다. 케이블의 단면적은 6제곱미리미터 인거고, OFC Copper, Silver 소재가 함께 들어 있다. 케이블 표면에 made in germany 라고 표기되어 있는데, 판매처 공식 생산지 자료에..

0. 들어가며메인 시스템 -> 서브 시스템 -> 데스크탑까지 건드리다 보니 잘 쓰고 있던 오디오엔진 A2+까지 업글을 생각하게 되었다.막상 A2+를 팔고 다른 스피커를 사다보니 자금의 압박이 느껴져서 뭐 좋은 스피커를 살 형편은 못 되고, 좋은 평가가 자자한 에디파이어 MR4를 구매했다.가격은 약 40달러 정도의 물건이다.1. 언박싱액티브 스피커라 pc에 직결하면 되기 때문에 어마어마한 가성비 템이 아닐 수 없다.약 2주 쯤 기다려서 수령한 것 같다. 2. 외관40달러 스피커에서 품질을 바라는 것은 무리다.디자인과 빌드 퀄리티는 꽤 낮다.40달러에서 4달러 정도가 디자인에 투자된 듯 하다.어쨌건 돔 트위터 주변 마감이나 각종 노브들은 싸구려틱하게 마감되어 있다.다시 말하지만 가격대를 생각하면 놀라운 품질..

0. 들어가며 0순위 가성비의 상징 폴크오디오 L200을 기다리다 지쳐, 선회한 것이 B&W 606 S3!! 최근에 공동구매 등이 있어서 저렴하게 풀린 물량도 있었고, 브랜드 선호도 등이 굉장히 높아 대중적인 제품이다. 반대로 최근 소비된 물량이 없는 폴크 L200은 중고 매물이 거의 구경하기 어려웠다. 아마, 소장하신 분들 만족도도 높아서 방출할 이유가 없을 듯... 기존에 사용하던 폴크오디오 ES20을 JBL 4312G 위에 두고 사용했었고, 딱히 불만은 없고 만족스러웠다. 생각보다 날선 소리를 들려주는 4312G와 두루뭉술 펑퍼짐한 소리를 들려주는 ES20의 궁합이 그럭저럭 맞았던 것 같다. 그런 것에 비해 B&W의 소리는 4312G와 그 궤가 크게 다르지 않은 탓일까, 두 스피커가 시너지 효과를 ..

0. 들어가며 2016~17년 즈음 구매했던 소니 히어고(h.ear go) SRS-HG1를 2대 소장 중이다. 소니 히어 고 SRS-HG1/Sony H.ear Go SRS-HG1 - 흥미가 있다면 17년 쯤 작성한 당시 리뷰를 보시도록... 소니 히어 고 SRS-HG1/Sony H.ear Go SRS-HG1결국에 질렀습니다. 아마, 다음 달 쯤에는 파산할지도 모르겠습니다. 나름 열심히 눈팅을 했고, 최종 후보에는 소니, 보스 두 브랜드 제품을 고민 했습니다. Sony H.ear Go SRS-HG1 vs BOSE SoundLink Mini 2 grancartzoo.tistory.com 그때나 지금이나 스테레오에 대한 로망이 있었고, 당시 30만원에 육박하는 가격에도 불구하고 약 1년 후 쯤 1대를 더 추가..

0. 들어가며 현재 서브시스템으로 달리 미뉴엣과 폴크 시그니쳐 ES20을 쓰고 있다. 앰프는 야마하 A-S2200, DAC는 Topping D90SE, 소스기는 WiiM Pro와 구글 크롬캐스트 4K를 쓰고 있다. 주로 유튜브 뮤직, 룬 레디(구독 취소함), 스포티파이 등을 듣고 있다. 처음부터 이 구성으로 쓴 것은 아니고, 처음 시작은 JBL 4312G+야마하 A-S2200으로 메인 스피커를 맞춘 이후 자금의 부족(?)으로 ES20을 서브시스템으로 들이면서 시작되었다. 30만원이 채 되지 않는 금액으로 ES20과 인켈 AX-7R MK II로 들으며 귀가 황홀함을 느꼈고, 이후 덴센 B-110+나 Sabaj A20A, 데논 PMA-2500NE 등 여러 앰프를 써보며 결국 현재 야마하 A-S2200으로 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