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오디오랙 (3)
아주 사적인 Zootopia

1. 근황 몇 가지 이슈가 있음. 첫번째, 야마하 CD-S1000을 영입했다. 오래된 장비이긴 하나 CD플레이어가 성능에서 큰 차이가 있기는 힘들기에 큰 돈 투자 안 하고 적당한 기기를 선택했다. CD-S1000은 SACD를 재생 가능한 장비이다. 두번째, 오디오랙을 완성했다. 오일스테인으로 마무리 작업을 하고 조립해서 완성했다. 세 번째, Topping A70 Pro를 영입했다. 기존에 Topping L70도 좋다고 생각했는데, 저렴하게 나온 A70 Pro를 냉큼 영입했다. 2. 오디오랙 작업하기 도색 전, 흰 피부의 자작나무 합판이 왠지 싸구려 느낌이 솔솔 난다. 이 랙으로 말할 것 같으면 부품비가 거의 20만원이 넘는 제품이다. 옆의 가구와 비교하면 색상 차이가 심하다. 오일스테인을 주문했는데, 용..

우연한 기회로 오디오랙을 자작할 수 있는 정보를 접하게 되었다. 일반적으로 아크릴 판에 다리를 다는 형식으로 많이 제작되는데, 필자는 목재에 대한 애정도 있고해서 자작나무 합판으로 준비했다. 400 x 500 size, 5단으로 준비했다. 원래는 소형으로도 많이 제작하지만, 턴테이블도 올려야겠다 싶어서 이 사이즈로 했다. 지난번 업로드한 도면 토대로 자재 주문했다. 흑니켈이라는 색상으로 주문했는데, 알루미늄 대비 2배 정도 비싼 듯 하다. 은은한 반짝임이 고급스럽다. 이게 이래보여도 10만원 어치가 넘는 자재다. 모서리에 타공을 한다. 8미리 타공을 해야한다. 합판 타공은 처음인 것 같은데, 뒷편이 찢어지는 단점이 있다. 마스킹테잎을 붙이면 안 찢어진다는데, 작업 끝나고 알게 되어서 테스트를 못 해봤다...

카페에서 공유된 자료를 가지고 오디오랙 도면을 그렸다. 왼쪽 것은 오디오테크니카 AT-LP120이 올라가는 랙이고, 오른쪽 것은 토핑 제품들만 쏙 들어갈 만한 미니 사이즈다. 자작나무 합판으로 제작해보고, 투명 아크릴 버전도 제작해봐서 수요가 있으면 스마트스토어 판매까지 해볼 생각이다. 근데 400 x 500 정도 사이즈에 4단 랙의 재료 단가가 대충 20만원이 넘는 듯 하다. 물론 자재를 비싼거 써서 그런 것도 있다만... 뭐 사이즈별로 준비해서 저렴한 버전부터 쭉 만들어봐야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