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 사적인 Zootopia
[인티앰프] Aiyima A80 미리보기 본문
Aiyima 에서 A80이라는 인티앰프 모델을 신규 출시한 모양이다.
이미 수령한 분도 계신 듯 한데, 본체만 구매하면 150 달러 아래에서 관세없이 직구 가능한 모양이다.
싸다고 찍먹으로 지를 때 지르더라도 어떤 물건인지 미리 살펴보고 지를지 말지 결정하는 것이 좋아 보인다.
Fosi 와 Aiyima 등에서 널리 채용하고 있는 TPA3255 칩을 채용하고 있다.
DAC칩셋은 ESS사의 9038Q2M인데, 이는 모바일 등급의 칩셋으로 알고 있다.
소형화를 추구할 때 많이 사용하는 칩셋으로 중등급 정도이지 않을까 싶다.(JBL SA750에도 탑재된 것으로 기억한다)
결론은 A80은 DAC 단부터 파워앰프 단까지 포함된 인티앰프라는 것
게다가 전면 컬러 스크린까지...
2025년 Aiyima의 약진이 눈에 띄는 지점이다.
THD+N : 0.006%
SNR : >=109dB
최대출력 : 300W (48V/5A)
음질수준은 평범 그 잡채지만, 여러 요소를 고려할 때 가성비가 좋다는 것은 쉽게 알 수 있다.
최대 출력 300W라는 것은 과장된 표현으로 48V 5A 4옴 스피커 채널 당 144W에 불과하다.
게다가 정격 출력은 이보다 낮다.
48V 10A 4옴 조건에서 채널당 최대 288W 출력이 가능하지만, 48V 10A 어댑터는 본체와 가격이 비슷한 수준이라 접근성이 낮은 편이다.
어댑터 포함 가격을 대략 250 달러로 책정해도 약간 아쉬운 생각이 드는 가격대이다.(하물며 1500원에 달하는 환율이란...)
전면 패널 디자인은 나쁘지 않지만 그렇다고 세련되지도 않았다.
그래도 잠재력이 보인다는 점에서는 점수를 주고 싶다.
가능하면 브랜드 네이밍도 좀 더 글로벌한 하이파이 브랜딩을 내면 어떨까 싶기도 하다.
밸런스 입력, 12V 트리거, 서브우퍼까지 작은 기기에 알차게 채웠다는 것을 알 수 있다.
TRS는 사용빈도가 높지 않은 편이라서 미니멀리즘을 추구하지 않는다면 XLR을 더 많이 사용하니 조금은 아쉬움이 있다.
게다가 Wiim 지원안함 이라니 ㅋㅋㅋ
Wiim이 대중적인 인기를 얻어서 그런지 문의가 많았나보다.
블루투스 코덱은 aptX HD까지 지원하니 그럭저럭한 수준의 감상은 가능한 셈이다.
매번 보는 거지만 NE5532 오피앰프가 기본 장착되어 있는데, 이는 오피앰프 튜닝에 투자를 좀 하란 의미가 되겠다.
필자라면 현재로선 버슨오디오의 V7 Classic을 추천하고 싶다.
방열 처리는 Aiyima보다 Fosi가 더 섬세한 설계를 했다고 생각했는데, 이번에도 별다른 방열에 대한 대책이 있어보이진 않는다.
어댑터 스펙에 따른 출력은 위와 같다.
접근성이 좋은 48V 5A에서는 채널당 약 100W 정도만 확보 가능한 수준으로 보아야 한다.
Foai V3 모노가 채널당 240W인 걸로 기억하니 교체할 하등의 이유가 없는 셈이다.
게다가 토칭 D70 Pro Sabre와 A70 Pro 세트와 비교할 수 있는 점은 차지하는 공간이 줄어드는 점 말고는 장점이 없다.
그러니 더욱더 Pure하고 Strong한 파워앰프를 Aiyima로부터 기대해본다.
'Product! > A.V.' 카테고리의 다른 글
[헤드폰] B&W PX7 S2e 바워스앤윌킨스 하이엔드 블루투스 헤드폰 (3) | 2025.01.14 |
---|---|
[파워앰프] Fosi V3 Mono 모노블럭 (2) | 2024.11.14 |
[이어폰] QCY MeloBuds Pro HT08 ANC (0) | 2024.11.12 |
[PC-FI] 데스크파이 JBL 4312M II WK (2) | 2024.11.01 |
[스피커] Polk Audio L200 북쉘프 스피커 (0) | 2024.10.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