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폴크 (3)
아주 사적인 Zootopia

0. 들어가며 PC-FI에 JBL L52 Classic이 JBL 4312M II에 자리를 내주면서, 기존에 JBL 4309를 쓰던 침실 시스템에 새로운 변화를 가져오게 되었다.L52가 갈 곳을 잃은 것도 있고, 4309 역시 어떤 업그레이드가 가능할지에 대한 가능성을 타진하기 위한 것이다.할인 시즌을 맞이해 R200 할인행사를 발견하고 이왕이면 플래그십 모델인 L200으로 가야지 라는 마음으로 서칭하던 중 매물을 발견하게 된다. 1. Polk Audio Legend L200예전에 JBL L52 Classic으로 입문할 당시에 해외 유튜버의 리뷰를 본 적이 있는데,"이 가격대에는 여전히 L52보다 좋은 선택지가 많이 있습니다. Polk Audio 라던가..." 라는 멘트를 들은 기억이 있다.지금 와서 생각..

0. 들어가며 현재 서브시스템으로 달리 미뉴엣과 폴크 시그니쳐 ES20을 쓰고 있다. 앰프는 야마하 A-S2200, DAC는 Topping D90SE, 소스기는 WiiM Pro와 구글 크롬캐스트 4K를 쓰고 있다. 주로 유튜브 뮤직, 룬 레디(구독 취소함), 스포티파이 등을 듣고 있다. 처음부터 이 구성으로 쓴 것은 아니고, 처음 시작은 JBL 4312G+야마하 A-S2200으로 메인 스피커를 맞춘 이후 자금의 부족(?)으로 ES20을 서브시스템으로 들이면서 시작되었다. 30만원이 채 되지 않는 금액으로 ES20과 인켈 AX-7R MK II로 들으며 귀가 황홀함을 느꼈고, 이후 덴센 B-110+나 Sabaj A20A, 데논 PMA-2500NE 등 여러 앰프를 써보며 결국 현재 야마하 A-S2200으로 정..

0. 들어가며 가성비의 상징 Polk Signature Elite ES20을 치웠다. 그 자리에 JBL L52가 돌아왔다. L52는 소리 품질이 나쁘다고 평가를 받는 스피커이다. L52를 사러 왔다 하면, "절대 사지 마시고, 4312G나 L100을 사라"는 이야기를 듣는 스피커이다. 당연히 하이파이의 시작은 이 두 스피커부터이기 때문에, 그리고 형태만 따라하고 소리는 따라가지 못 하는 L52나 L82는 권하지 않는 듯 하다. 그러나 최근에 달리 미뉴엣이나 소리가 좋다고 평가받는 스피커들은 디자인이 썩 좋지 않은 경우들이 왕왕 있다.(개인 취향 문제기도 하고) 특히, 나 여기 있다고 자기 주장이 강한 디자인들은 오디오룸에서는 개성있어 보일지 모르나 가정집 인테리어에서는 너무 요란해서 눈이 즐겁지 않은 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