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전체 글 (478)
아주 사적인 Zootopia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SFhYr/btrsrV6G99m/gAyMUSKQWjNrpKmDHxt0i1/img.jpg)
0. Prologue 기존 살던 분이 이사 나간 이후의 상태를 보자. 1. 안방 끔찍한 상태다. 수십년간 한번도 철거하지 않은 벽지, 곰팡이인지 뭔지 알 수 없는 얼룩 조명, 몰딩, 바닥재가 문제다. 벽의 얼룩을 보라. 저 위에 도배를 하고 그냥 살고 싶은 생각이 드는지... 2. 거실 겸 주방 싹 다 철거하기로 했다. 손 안 댈 곳은 전기, 창호, 천장 정도일까... 싱크대도 싹 정리하기로 했다. 살림살이가 많지 않으니 상부장은 선반으로 대체하기로 한다. 철거작업부터 시작해야 할 듯 하다. 3. 화장실 화장실이 가장 심각하다. 모조리 싹 다 치워버릴 생각이다.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wG7XK/btrsA6ESZ4G/j7TK0sK2cMMTCDfo6ulLb0/img.jpg)
0. Prologue 원룸 생활을 청산하고 조금은 넓은 구옥으로 이사하기로 결정이 됐다. 위치는 서대문구 홍제동 어딘가 쯤 실면적은 약 25평 가량 사용승인은 91년경 실내 구조는 오래된 구옥인 만큼 공간을 무자비하게 낭비해서 지어졌다. 대표적인 사례는 집 평수에 맞지 않는 대궐 같은 화장실 크기... 사진으로 대략 살펴봅시다. 1. 작은 방 창문과 문이 난 방향이 북향이다. 문은 베란다 공간과 연결되어 있는데 구조상 베란다 활용성이 0%이다. 특이한 구조로 베란다 우측으로는 옆집과 연결되어 있다. 2. 베란다 이 곳은 작은 방에 연결된 베란다 공간으로 총 길이가 10m에 달한다. 2개의 수전이 보이는 것은 세탁기 용이 아닐까 싶은데 그런 것 치고는 배수관이 없어서 세탁기를 놓기에는 그렇다. 급수는 있고..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2xuvT/btrpdph5x3s/LRyVQs4yKxXTEPX9MdmS8K/img.png)
단열을 똑바로 안 해서가 아니라... 예나 지금이나 저렴하게 짓는 주택은 옥상 바닥에 제대로된 마감이 없고 사진처럼 우레탄 정도로 방수 처리만 한다. 그러면 자연스럽게 단열재는 꼭대기층의 천장에 설치를 하지. 그러면 난방을 해서 데워진 실내 온기가 벽에도 전해지고 이게 옥상으로 이어지는 거겠지. 단열 시공에는 내단열과 외단열 방식이 있는데 내단열 시공을 했을 경우에 실내 내벽으로부터의 열전도를 막으려면 실내 내벽에도 단열재 시공을 하면 되겠네? 그래서 단열은 외단열이 좋다지만 마감재 비용이 많이 든다. 골조에 방수에 단열재에 별도의 마감재까지, 게다가 옥상 방수에 하자가 생기면 수리비는 기하급수적으로 올라간다. 예전에 열반사단열재에 대해 조사하다 알게 된 것인데, 애초에 우리가 시공하는 단열재의 단열 성..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rBtNc/btrogwWEFGK/YkKUScQu0lFrtBGBmj5IFK/img.jpg)
노래가 좋아서 사연이 재밌어서 저장하는 차원에서 공유하는 차원에서 올림
지옥은 평범한 드라마 수준을 넘기 어려운건가. 우리나라가 아무라 막나가도 사람 죽는 현장을 생중계 할까. 경찰이 옆에서 지켜본다고? 얼굴도 모르는 VIP들 모시고? 광신도들에게 폭행당한 민혜진 변호사가 어머니를 응급실에 멀쩡하게 보호자로 접수하는데 민혜진 변호사는 강철로봇인가 같이 맞았는데 다친데도 없는 건 기본인데다가 바로 다음 씬에서 얼굴이 2~3일 전에 맞은 사람 얼굴로 바뀐다... 심지어 폭행으로 인해 뇌진탕+뇌출혈 응급환자로 들어온 노인 환자를 침대에 방치해놓고 사망을 변호사가 맥을 짚어서 확인하는건 무슨 상황인가. 후진적인 의료시스템을 비판하려고 만든 장면인가? 이런 걸 연출이라고 부르는 영역인가 이런 허점이 보일 때는 몰입이 깨져서 맥이 풀린다. 소재는 신선해서 좋다. 메세지도 있는 것 같다..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eDDsNO/btrn1gTC6Wo/zYS67LSqxrYleBVDd59JL0/img.jpg)
화살촉 캐릭터를 본 순간 일본 만화 영향을 받았구나 하고 느꼈다. 디스토피아적인 미래관에서 따온 사이비 광신도 시나리오를 직접 서술해서 끌고가는 확성기 역할로도 적절하고 현실적인 배경 묘사와 상반되는 비쥬얼이 드라마의 비현실 혹은 초현실적인 부분을 끌어올리는데 일조한다. 그렇지만! 생각보다 연기가 충분하지 못 하다는 인상을 받았다 ㅋㅋㅋㅋ 눈빛 안면근육 묘사 목소리의 흥분도 혹은 업텐션 모두 내가 상상한 것보다 부족하다. 미친놈 같이 연기해야 하는데 오히려 아프리카BJ들이 더 미친놈들이 아닐까 싶을 정도로 정상인 같다. 그런데 해외리뷰에서 의외로 이 부분에서 역한 기분을 느끼고 화살촉 씬은 모두 스킵한다는 후기들이 많았다. 예상대로 일본어 더빙에서 가장 현지(?)스러운 느낌을 잘 살렸다는 인상을 받았다...
한동안 KZ 이어폰 유선으로 잘 즐겼으나 다시 무선 이어폰 뽐뿌가 왔는지 QCY T13을 지른다. 뿐만 아니라 중국제 블루투스 이어폰 모듈도 2개나 구매했다. 하나는 KZ 제품 하나는 이름도 없는 제품인데 재밌는건 LDAC가 지원된다는거다. 다 합하면 대충 10만원어치 쯤 될 듯 한대 이 돈으로 이어폰 한개 사는게 나을 뻔 했다 ㅋㅋㅋㅋ 여튼 이제 하루이틀 써본 상황이고 T13도 그럭저럭 쓸만하다. 이 가격에 이 정도면 감동이지 ㅋㅋㅋ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WWJrZ/btrmEFUL99D/uld2WtKvsj9hDprSy7n0TK/img.jpg)
2021년 11월 30일 코스피 코스닥 떡락 오미크론 변이에 대한 여파로 하락하는 것으로도 보이고 여하튼 지난 9월 하락장 때 6개월 간의 투자가 수포로 돌아간 것에 대해 국내증시에 염증을 느끼고 모조리 미국증시로 옮겼다. 이때 단타치겠다고 남겨둔 천만원도 결국에는 물려서 손절... 그리고 연일 신고가를 갱신하는 미국증시에 비해 한국증시는 미장이 올라도 떨어지고 미장이 떨어지면 같이 떨어지는 뭣같은 신흥국 디커플링 현상에 계속 괴롭힘 당하며 박스권에 머물러 있었다. 존버를 외치던 사람에 비해 나는 지금은 들어가기에 적절치 않은 시장이라고 판단 했고 현시점의 한국증시는 위로도 아래로도 움직일 수 있는 불안하고 아주 좋지 않은 타이밍이라고 판단했다. 즉 들어가기에 썩 좋지 않다는 말이었지. 코스피 2900~..
전태일 애니 만든 심재명 대표 "반세기 지나도 유효한 이야기" | 연합뉴스 [앵커] 반세기 전 근로기준법 준수를 외치며 스스로 산화한 전태일 열사의 삶이 애니메이션으로 만들어졌습니다. 영화계 '미다스의 손'으로 불... www.yna.co.kr 전태일은 애니메이션으로는 어울리지 않는 소재 같다. 꿈과 판타지를 그려내는 애니메이션이라능 미디어는 소재를 조금 가볍게 여기는 분위기를 만들지 않을까 우려된다. 오히려 영화였으면 어떨까. 그러나 어쨌건 이런 소재의 영화는 대중의 외면 받는 것이 보통이라서... 안타까움...
나는 샤오미를 쓴다. 한국에서 샤오미를 나처럼 쓰는 사람은 꽤 이상한 시선을 받는 것이 사실이다. 이런 사람 처음이야. 라던가 왜 애플/삼성 안 쓰냐. 라던가 말은 못 하더라도 꼭 그렇게 말하고 싶어하는 것이 느껴진다. 나도 처음에는 애플 소비자였다. 아이폰3Gs부터 6까지 장장 10년에 걸쳐서 사용을 했었고 아이패드2로는 학교 수업에서 필기도 하는 등 나름 얼리어댑터 성향도 있는 편이었다. 그러나 그다지 만족스럽지 못 해서 아이패드2 이후로 약 10년 간 패드류는 구매하지 않았고 필요성도 못 느끼고 크기/무게가 불편하다고 생각했다. 몇 번 밝혔던 것처럼 나는 기업의 ESG도 중요하게 생각하고 attitude도 따진다. 애플은 오랜 시간에 걸쳐 나에게 실망과 화를 안겨주었고 나는 더 이상은 참지 못 하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