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2024/05 (4)
아주 사적인 Zootopia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caTWxn/btsHng7HW6Z/74anXzZVqak6P2w1g1uGM1/img.jpg)
필자는 작년 이맘 때쯤 JBL L52 Classic을 구매하면서 하이파이에 입문했다. 최초에는 토핑 시리즈들을 구성할 생각으로 토핑 E70 Velvet, Pre90, LA90D 모노모노로 구성하는게 목표였다. E70 V, Pre90, LA90D까지 구매를 했는데, 앰프 1대를 더 사야 하는 상황에서 망설이게 되었는데 그 이유가 "여기서 LA90D 1대를 더 추가한다고 해서 뭐가 더 좋아질까?"라는 생각이 들어서였다. 필자가 듣기에 당시의 4312G의 사운드가 그리 매력적으로 들리지 않았고 생각보다 실망스러워서였다. 모노모노로 구성할 경우 출력이 강해지고, 크로스토크 성능에 이점이 있다. 보아하니 8옴 기준에서 56W이고, 모노 블럭으로 쓸 경우 180W 출력이 가능하다. 저항이 6옴인 4312G 상대로는..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OSyai/btsHbRnNyS9/kka96Fdk2gTiVvQ3VhBuw1/img.jpg)
0. 들어가며 [인티앰프] JBL SA750 / Dirac Live / Roon Ready0. 들어가며 JBL 75주년 기념 한정판으로 나온 인티앰프 JBL SA750 ESS 9038K2M DAC가 내장된 올인원앰프로 Roon Ready, Dirac Live까지 내장된 꼬마 실력자 느낌의 앰프다. JBL은 앰프는 이미 생산하지 않는 기grancartzoo.tistory.com필자가 소장한 SA750은 일본 내수용 제품으로 100V 고정 제품이다. 최근 생산 제품은 110V 220V 변환 스위치가 있으니, 상당히 초창기 생산 제품이 아닐까 싶다. 덕분에 이런 제품은 소비자들이 기피하고 중고거래도 활발하지 않다. 1. 앰프 스펙 보기 일본은 일반적으로 100V를 쓴다고 하는데, 제품의 스펙을 먼저 살펴봐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