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북쉘프 (5)
아주 사적인 Zootopia

0. 들어가며 첫 인상과 달리 JBL L52에 적당한 앰프를 물려주자 너무나 아름다운 소리를 들려주었다. 유일한 불만은 공간에 비해서 약간 작다는 인상 그렇다고 지금 있는 공간이 JBL 4312G도 소화하지 못 하는 공간인지라 적절한 업그레이드는 L82 정도라 생각했다. 1. JBL L82 Classic L82는 어중간한 포지션 때문인지, 혹은 높은 가격대 때문인지 수요가 별로 없는 모델이다. 정식 수입품은 250 정도에 가격이 형성되어 있고, 중고 매물은 100만원 후반대에 형성되어 있지만 매물이 아주 귀하다. 근래 중고매물도 너무 먼 곳에 있어서 사러 갈 엄두가 나지 않았다... 그리고 이미 MkII 모델이 출시한 마당에 오리지널 모델을 사야할까 라는 고민이 생기고, 일반 모델보다 피아노 블랙 모델이..

0. 들어가며 0순위 가성비의 상징 폴크오디오 L200을 기다리다 지쳐, 선회한 것이 B&W 606 S3!! 최근에 공동구매 등이 있어서 저렴하게 풀린 물량도 있었고, 브랜드 선호도 등이 굉장히 높아 대중적인 제품이다. 반대로 최근 소비된 물량이 없는 폴크 L200은 중고 매물이 거의 구경하기 어려웠다. 아마, 소장하신 분들 만족도도 높아서 방출할 이유가 없을 듯... 기존에 사용하던 폴크오디오 ES20을 JBL 4312G 위에 두고 사용했었고, 딱히 불만은 없고 만족스러웠다. 생각보다 날선 소리를 들려주는 4312G와 두루뭉술 펑퍼짐한 소리를 들려주는 ES20의 궁합이 그럭저럭 맞았던 것 같다. 그런 것에 비해 B&W의 소리는 4312G와 그 궤가 크게 다르지 않은 탓일까, 두 스피커가 시너지 효과를 ..

0. 들어가며 현재 서브시스템으로 달리 미뉴엣과 폴크 시그니쳐 ES20을 쓰고 있다. 앰프는 야마하 A-S2200, DAC는 Topping D90SE, 소스기는 WiiM Pro와 구글 크롬캐스트 4K를 쓰고 있다. 주로 유튜브 뮤직, 룬 레디(구독 취소함), 스포티파이 등을 듣고 있다. 처음부터 이 구성으로 쓴 것은 아니고, 처음 시작은 JBL 4312G+야마하 A-S2200으로 메인 스피커를 맞춘 이후 자금의 부족(?)으로 ES20을 서브시스템으로 들이면서 시작되었다. 30만원이 채 되지 않는 금액으로 ES20과 인켈 AX-7R MK II로 들으며 귀가 황홀함을 느꼈고, 이후 덴센 B-110+나 Sabaj A20A, 데논 PMA-2500NE 등 여러 앰프를 써보며 결국 현재 야마하 A-S2200으로 정..

0. 들어가며 가성비의 상징 Polk Signature Elite ES20을 치웠다. 그 자리에 JBL L52가 돌아왔다. L52는 소리 품질이 나쁘다고 평가를 받는 스피커이다. L52를 사러 왔다 하면, "절대 사지 마시고, 4312G나 L100을 사라"는 이야기를 듣는 스피커이다. 당연히 하이파이의 시작은 이 두 스피커부터이기 때문에, 그리고 형태만 따라하고 소리는 따라가지 못 하는 L52나 L82는 권하지 않는 듯 하다. 그러나 최근에 달리 미뉴엣이나 소리가 좋다고 평가받는 스피커들은 디자인이 썩 좋지 않은 경우들이 왕왕 있다.(개인 취향 문제기도 하고) 특히, 나 여기 있다고 자기 주장이 강한 디자인들은 오디오룸에서는 개성있어 보일지 모르나 가정집 인테리어에서는 너무 요란해서 눈이 즐겁지 않은 경..
내가 원하는 AV시스템에 얼추 접근했다. 저가 오디오지만 북쉘프계의 쫀듸기 오디오엔진 A2+ 이거는 PC-Fi 용으로 오딘스트 HUD-DX1을 물려놨다. 오딘스트는 어마무시하게 건조한 소리가 특징인데 알다시피 버손 V5i로 OP amp 개조를 해주는 바람에 찰랑찰랑거리고 엄청 글래머러스한 소리 성향으로 바뀌었고 굉장히 만족하는 중이다. 말하자면 잔향, 공간감이 늘었다는 거겠지... 그리고 거실에는 마샬의 스탠모어2를 모셔놨다. 첫인상은 깡통이었는데 지금은 제자리를 찾은 듯 하다. 그럭저럭 좋은 소리를 들려준다. 어플지원과 고음 저음 컨트롤 등은 장점이다. 침실에는 클립쉬의 더쓰리2를 가져다놨다. 더쓰리2는 저음 부밍이 좀 쎄다. 대부분 공동주택에 주거한다는 점을 생각하면 그다지 장점은 아니다. 게다가 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