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Product! (200)
아주 사적인 Zootopia
20개의 BA(Balanced Amateur) Driver가 탑재된 괴물 같은 이어폰 ASX. 그러나 실제로 사용해보면 도저히 못 쓸 물건이다. iBasso dx160과 재결합을 시도해 보았으나... 귀가 너무 피곤해서 들을 수가 없다. 소리라는 것은 빠질 때는 빠지고 들어올 때는 들어와 주는 것이 밸런스가 맞는 것 같다.

아시는지 모르겠는데 몇달전에 아이바쏘의 DX160을 구매했다. 지샨799 따위는 이제 취급하지 않는다는거다. (카오디오로 쓰는 중) 여하튼 꽤 비싼 가격에 구매했고 나름 잘 쓰는 중이다. 몇달째 썼으니 이제 썰을 풀어보자. 쓰면서 이게 맘에 안 들었다 싶은 것만 리스트 형식으로 남겨본다. 1. 빈약한 블루투스 성능 음질 문제로 주로 유선으로 활용하다보니 블루투스 성능이 이렇게 개허접한지 몰랐다. 오딘스트 HUD-DX1 Blue24와 블루투스로 연결했는데 2m 이상 벗어나면 연결이 끊긴다. (핸드폰과는 연결이 잘 됨. 오딘스트 블루투스 성능 문제가 80%임.) 슈어 에이오닉 50과도 블루투스로 음악감상이 불가능할 정도로 끊기고 만약에 DAP와 헤드폰 사이에 팔이라도 걸쳐지면 연결이 끊긴다. 지하철 같은 사..
간단 사용 후기지금 약간 지려서후기를 남김.그레이스디자인 M900과 오디오엔진 A2+ 조합으로 타이달 듣는데 작살난다...감동음악은 왜 스테레오로 듣는지 못 느껴본 사람은 모른다...쩐다...앉아서 온전히 음악만 감상하는 건 처음인 듯지금까지 들어보지 못 한 수준의 소리가 난다.사람들이 어쨌건 스피커가 제일 좋다고 하는 이유를 알았다...p.s. 클립쉬 더쓰리II가 갑자기 생각나는 대목인데 오디오엔진은 저음 부밍 같은 건 하나도 없다. 좀 더 들어보고 자세한 리뷰를 남기겠음.

0. Prologue 사실 이 주제로 벌써 몇 번째 포스팅이다. 오늘이 마지막 포스팅이 되지 않을까 싶다. 과연 마샬은 진짜 예쁜 쓰레기인가? 라는 주제를 가지고 네티즌들의 평가가 사실인지 의문을 가지고 살펴봤다. 오늘은 다른 관점에서 접근해보려고 하는데 두 스피커의 스펙 비교를 객관적으로 해보려고 한다. 1. 스피커의 음질? 블루투스 스피커의 품질은 무엇으로 결정될까. 음질에 영향을 미칠 두 가지 요소를 보면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으로 나뉠 것 같다. 하드웨어는 드라이버 유닛, 하우징 등일 것이고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은 주로 블루투스 코덱 정도가 영향을 주지 않을까 싶다.(더 깊은 전문영역은 다루지 않기로 해요) 객관적 지표를 통해 두 스피커의 우열을 가린다면 클립쉬 더쓰리II의 판정승이다. 그러..

슈어 에이오닉 50도 꽤 오래 쓴 것 같다. 개봉하고 처음 사용한 감상은 '방출해야겠다' 였고 이유는 저렴해보이는 플라스틱 소재 마감과 오염에 취약한 가죽 너무(?) 플랫한 느낌의 사운드. 저음도 고음도 튀지 않는데 이것은 드럼, 베이스나 기타 소리가 그닥 맘에 안 든다는 얘기다. 선예도도 평범해서 소리가 상당히 뭉툭(?)하게 들렸다. 일주일도 사용하지 않은 제품은 달이 지나도 팔리지 않았고 구매희망자들의 과한 흥정에 결국 내가 쓰기로 결정했다. 애초에 내가 신품기준 36만원 짜리를 40만원에 산 탓도 있었다 ㅠㅠ (여러분들은 나와 같은 우를 범하지 마시라. 셰에X자드, 와X다닷컴 같은 음향기기 저렴하게 파는 곳들이 많다.) 어느 리뷰어는 에이오닉 50을 고급 세단에 비교하던데 아무리 잘 봐줘도 레이 정..
이전에도 마샬 스탠모어II와 클립쉬 더쓰리II의 음질과 관련한 내용을 많이 포스트 했었다. 관전포인트는 진짜로 마샬 스탠모어II가 음질이 구리냐는 것과 클립쉬 더쓰리II가 음질이 그렇게 좋냐는 거다. 현재까지 내 개인적인 의견은 고만고만한 것들끼리 무슨 도토리 키재기를 하고 있냐. 니넨 귀가 삐었냐. 뭐 이런 생각이다. 개인적인 생각을 계속해서 정리 중이다. 마샬 vs 클립쉬 마샬은 영국의 앰프 제조 회사인데 뭔 뜻이냐면 라이브 공연에서 사용하는 기타 앰프 같은 것들을 만든다는 뜻이다. 그래서 락밴드를 좋아하거나 경험이 있거나 그러면 친숙한 브랜드다. 이 회사가 뭔 생각이었는지 대략 2010년 즈음?부터 음향기기, 즉 이어폰과 헤드폰에 손을 댄다. 초창기 마샬 메이저라는 헤드폰을 마샬 브랜드 뽕으로 잠깐..
그레이스디자인 M900 주문함. 쎄에라자드라는 음향기기 취급 전문 사이트에서 주문했는데 역경매라고 해서 정가부터 시작해서 4시간마다 1천원씩 내려가는 경매가 있길래 봤더니 거기 8월 25일에 올라왔더라 처음 등록가 69만원에서 시작해서 58만원까지 내려왔길래 묻지도 따지지도 않고 냉큼 주문함. 헤드폰도 점점 늘어나고 공부방이랑 PC랑 분리되는 바람에 하나 있음 좋겠다 싶어서 주문함. 솔직히 오딘스트도 너무 하급이기도 했고... 얘도 소리는 중립적이라는데 내가 저음 부밍에 대해서는 반감이 있지만 너무 플랫하면 또 심심한데... 포칼 클리어랑 젠하이저 HD600이랑 조합 기대 중임. 특히 HD600은 저항이 300옴이라서 지금 가진 기기들과 소리 차이가 명백히 날지가 관전포인트인듯...
예전에 드롭발 젠하이저 HD6XX를 쓰다가 내친 일이 있다. 포칼 클리어가 마지막까지 살아남았기 때문인데... 저가 모델인 HD6XX가 좀 아쉽기도 했었다. HD6XX는 660 하위호환이라는 얘기도 있고... 여튼 HD600이 궁금해서 질렀다. 결론. 가격 : 특가로 새 제품 36만에 구매 97년 출시한 헤드폰이 아직도 40만 중반대 가격이라니...이 헤드폰 팔아서 젠하이저 직원들 월급 주는건지... 이미 개발비 다 뽑고 46만원 중에 40만원은 순수익일듯. 패키징 : 싸구려 박스에 대충 헤드폰 대충 구겨넣고 설명서 하나 기본케이블에 변환 단자 하나로 땡 디자인 : 싸구려 한번 리뉴얼해서 이상한 군용 위장같은 무늬는 없어졌다만 그래도 고급스러운 디자인은 절대 아님. 마감 : 싸구려 마감이라는 개념 자체가..